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the trading tribe
    그외 2019. 5. 27. 15:08

     

    잭 슈웨거의 '시장의 마법사들'을 읽으신 분이라면,
    세이코타가 굉장히 독특한 시선을 가지고 있다는걸 아실 겁니다.
    지금 생각나는걸 적어보자면,

    1. 모든 사람은 시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다.
    패배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돈을 잃음으로써 시장에서 승리한다.

    2. 점쟁이는 미래에 산다. 일을 미루는 사람도 미래에 산다. 기본적 분석가도 마찬가지다.
    나는 존재하지 않는 미래를 예측하지 않는다.

    3. (시스템 트레이딩의 비밀을 설명해달라고 요청받고) 가장 놀라운 비밀은 그런 비밀이 없다는 것이다.
    만일 있다면, 그것은 나에게도 필요하니 나에게 가르쳐달라. 성공적인 비법을 찾겠다는 생각을 버려라.

    4. 잡지 표지 디자인이 아주 감상적일때는 포지션을 청산하라. 잡지 내용은 건질게 없다.

    ===================================================================

    세이코타의 책 리뷰입니다. 

    트레이딩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습니다.

    용어 정의(by seykota) & 뉘앙스상 영어를 그대로 쓴 것들의 사전상 의미.
    1. k-not : a feeling intertwining with a negative judgement about that feeling.
    2. fred : subconcious mind.
    3. ttp: trading tribe process.(form process, polarity process, goal process 등의 방법론들)
    4. validate : 입증하다, 인증하다, 승인 하다.
    5. manipulate : (흔히 교묘하고 부정직하게 사람·사물을) 조종하다
    6. victim : (속임수를 당한) 피해자
    7. judgement : 판단, 비판
    9. field of acknowledgment : magnetic field 같은 표현. acknowledging field 라고 하면 쉽게 이해됨.

    1.


    우리의 문화에서, 우리는 감정에 대한 judgement를 만든다.
    부모는 '너는 그런 식으로 느끼면 안돼' 라고 말하고,
    우리가 화를 내기라도 하면, 친구들은 달려들어서 우리의 분노를 '없애려고' 한다.
    전통적인 심리학이나 종교에서는, 우리의 감정을 억누르거나 이겨내거나 무시하라고 한다.
    우리의 사회는 어떤 감정들이 나쁜 것이라고 끊임없이 말한다.
    ..
    만약에 당신이 어떤 감정이 나쁜 것이라는 메세지를 받아들인다면,
    당신은 감정을 k-not에 묶어버리고, fred가 당신의 conscious mind와 소통하는걸 방해한다.
    이 방해는, 감정을 경험하고 지혜를 얻는 과정을 방해한다.
    ..
    fred는, 성공할때까지 계속해서 당신의 conscious mind 와 소통하려고 한다.
    우리가 fred가 자기 할일을 하게 놔두면, 우리는 충만하고 풍부한 인생을 산다.
    우리가 fred를 멈추려고 하면, 우리는 드라마를 찍는다.
    그리고 결국 우리가 느끼지 않으려고 한 감정들을, 값비싼 드라마로써 경험하게 된다.

    손실에 대해 k-not을 가지고 있다면,
    1. 손실을 경험하고 싶지 않다.
    2. 손실을 안보는 시스템을 만든다. 
    3. 실전에서 손실을 본다. 그것도 격렬하게(드라마). 

    2.


    manipulation은 상대가 느끼고 싶어하지 않는 감정들을 이용하는 것이다.
    외로움을 느끼고 싶어하지 않는 상대(외로움에 대한 k-not)를 manipulate 하려면,
    'xx안하면, 나 너 떠날거야' 라고 말하면 된다.
    ..
    아이들은 세계를 탐험하고 감정을 경험하기를 좋아한다. 그들은 k-not 없이 태어난다.
    당연히 애를 manipulation 하기위해서는, 애한테 k-not을 심어줘야 한다.
    애한테 어떤 감정이 나쁜거라고 가르친 다음,
    애의 k-not을 이용하면 쉽게 manipulation 할 수 있다.
    이게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자식들을 대하는 방식이다.
    이건 어디서나 볼 수 있다.
    공부하기 싫다는 애들 다그치는 엄마들도 대부분 이 전략을 사용한다.
    ..
    만약에 당신이 규칙적으로 애를 manipulate 한다면,
    당신은 조만간에, 당신에게는 애와의 진짜 커뮤니케이션도 없고, true intimacy도 없다는걸 느끼게 될 것이다.
    ..
    manipulation 은 당신이 victim에게, victim이 느끼고 싶어하지 않는 감정을 느끼게 만들겠다며 협박하는 게임이다.
    victim은 보통, 반격할 방법을 찾아내고, 결국 당신은 threat-threat relationship을 가지게 된다.
    여기에는 그 어떤 real intimacy 도 없다.

    3.


    메세지가 아니라, 메신저를 validate 하라.
    무조건적인 사랑이란, 무조건적인 validation이다.
    특히나, 상대가 당신이 싫어하는 감정을 얘기하더라도 상대를 validate하는 것이다.
    당신의 짝이 화를 내면 당신은 그 공격을 방어하거나 되받아치지 말고, 그저 상대의 화를 인정하라.
    '그래 너 화났구나. 니 감정을 더 말해줘.' 이 말은 field of acknowledgment 를 형성한다.
    만약에 우리가 메신저를 validate 하는데 실패하고, 상대의 말을 공격으로 받아들이고 반격하고 방어한다면,
    우리는 drama에 빠져드는 것이다.
    ..
    Feelings that you don't want to feel run your life.
    당신이 k-not을 풀지 않는다면, 당신이 하는 모든 행동은 드라마를 찍는 방향으로 향한다.
    그리고 결국 당신이 느끼고 싶지 않은 그 감정을 느끼게 된다.
    ..
    만약에 당신이 질투에 대해 k-not을 가지고 있다면,
    당신은 바람끼가 있는 사람을 아주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다.
    그래서 그 사람과 교제하고, 바람을 못 피도록 모든 행동을 취한다.
    그리고 당신이 주는 그 압박감에 상대는 바람을 더 피고 싶을 것이다.
    그래서 상대는 바람을 피고, 당신은 질투를 느낀다.
    ..
    (어떤 남자가, 여자친구가 바람을 피고나서 헤어진 후, 모임에서 ttp를 통해 감정을 해소함)
    우리는 삶이 어떻게 될것이라고 예측하지 않는다.
    어쩌면 그가 전여자친구와 다시 사귈 수도 있다. 어쩌면 그가 다른 사람을 만날 수도 있다.
    어쩌면 그가 한동안 그냥 혼자 있을 수도 있다.
    우리는 그를 위한 계획이나 기대치를 설정하지 않는다.
    그가 어떻게 살든지, 그에게 질투라는 감정이 인생의 적이 아니라, 인생의 아군이라면, 우리는 만족한다.
    ..
    거절하는 사람이 거절에 대해 k-not을 가지고 있다면, 그는 거절을 못할 것이다.
    그는 계속 거절하지 못하고 주저하며, 그만두고 싶다는 말을 차마 하지 못한다.
    이런 식으로 지체되며 관계는 지속되며, 상황은 점점 나빠진다.
    결국 도저히 견딜 수 없는 지점, 거절을 해야만 하는 지점에 이른다.
    그래서 양측은 엄청난 감정적 손실을 입는다.
    k-not 이 삶을 운전하는 것이다.
    ..
    아무도 거절의 감정을 좋아하지 않는다.
    거절의 감정을 경험하려하고, 그것을 인간관계에서 인디케이터로 사용하는 사람은 엄청난 강점을 가진다.
    그래서, 우리가 이혼하고 헤어지고 해고당하고 사표를 쓸때, 그렇게 난리를 떠는게 별로 놀랍지 않다.
    이 꽤나 단순한 사건들은 크나큰 드라마로 각색된다.
    ..
    k-not을 풀지 않으면, 무슨 일을 하든지 그것은 드라마를 더 크게 만든다.
    k-not을 풀면, 드라마 찍는 일에 흥미를 잃는다.

    4.


    우리는 의도 = 결과. 라는 관점을 가진다.
    우리는 인과관계 라는 개념이 사회적인 미신이며, 왜. 라는 질문은 원인을 구걸하는 행위라고 믿는다.
    우리는 왜. 라는 질문은 근본적으로 답이 없다고 믿는다.
    그리고, 왜. 라는 질문은 인과관계에 대한 사회적인 미신을 강화한다.
    ..
    원인을 정하는 일은, 인과관계 모델에서 필수적이다.
    누가 비난받아야 하고, 누가 잘못했고, 누가 아무 잘못이 없고, 누가 손해배상 해야하는지 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인과관계 모델이 아니라, responsibility model을 지지한다.
    responsibility model 에서는, 모든 사람이 모든 것에 대해 책임이 있다.
    인과관계 모델에서는, 모든 것에 원인이 있고, 몇몇 사람만이 책임이 있다.
    ..
    'your cooperation is appreciated' 라는 표현을 보자.
    'your cooperation' 은 주체가 아니다.
    그것은 대상이며, 우리는 여기서 누가 주체인지 알 수 없다.
    누가 'appreciating' 하는지 알 수 없다. 아마도 아무도 당신을 appreciate 하지 않나보다.
    우리는 '나는 당신이 협력해서 감사합니다' 라고 말한다.
    ..
    세상을 직접적으로 대면하고 싶어하지 않는 사람들은, 미래로 도망친다.
    '나는 너랑 지금 밥먹기 싫어' 라고 말하지 않고, '나중에 밥이나 한번 먹어요' 라고 말한다.
    우리는 모든 대화를 현재에 둔다.
    만약에 당신이 뭔가를 한다면, 당신은 지금 그걸 하든가 아니면 지금 그걸 하지 않든가 이다.
    당신이 나중의 미래에 뭔가를 할 수는 없다.

    '그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윈 이야기  (0) 2019.05.27
    사랑니 뺐다  (0) 2019.05.27
    아버지와의 대화  (0) 2019.05.27
    트레이딩으로서의 삶  (2) 2019.05.27
    the bed of procrustes  (2) 2019.05.27

    댓글